AI / / 2025. 7. 6. 13:04

챗 gpt 프롬프트 설정

반응형

AI에게 원하는 답을 정확히 얻어내는 ‘프롬프트(prompt)’ 작성법을 한눈에! 
명확한 목적 설정, 구체적 맥락, 형식 지정부터 역할 부여·예시·제약조건까지,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단계별 방법과 3가지 실전 예제를 소개합니다.

 

1. 프롬프트란 무엇인가?

프롬프트(prompt)는 AI에게 주는 지시문입니다. 질문이 명확할수록 답도 정확해집니다. 구글 검색 키워드를 고를 때처럼, 핵심 단어와 의도를 또렷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2. 프롬프트 구성의 3가지 핵심 요소

핵심 요소 설명 체크 포인트
1) 명확한 목적 설정 (Goal) “무엇을 얻고 싶은가?” 정보 설명인지, 코드 예시인지, 요약인지? 
2) 구체적인 맥락 제공 (Context) 상황·배경·대상·버전 등 “Spring Boot 2.6 + JDK 11 환경에서…”
3) 원하는 형식 지정 (Format) 답변 구조 및 세부 조건 표, 리스트, 마크다운, JSON 등

 

3. 프롬프트 구성의 추가 7요소 (고급 최적화)

추가 요소 핵심 질문 예시
1) 역할 부여(Persona) “AI가 어떤 전문가처럼 말해야 하나?” “너는 시니어 자바 개발자다.”
2) 예시 제공(Example) “올바른 출력 예시는?”  샘플 입력↔출력 쌍 제시 
3) 입력 데이터(Data) “어떤 원본 자료를 줄까?” JSON, CSV, 기사 전문 등
4) 제약 조건(Constraint) “금지/우선 조건은?" 500자 이하, 표준 SQL만 사용
5) 단계별 진행(Step by Step) “풀이 과정을 보여줄까?”  “한 단계씩 생각해봐.”
6) AI에게 물어보기(Ask the AI) “추가 정보 필요?”  “필요한 게 있으면 먼저 물어봐.”
7) 피드백 & 자기 평가
(Feedback & Self-critique)
“결과를 검토/수정?”  “스스로 오류를 찾고 수정해줘.”

3-1 작동 원리

이 요소들은 LLM(Large Language Model) 내부의 “Chain-of-Thought(사고 연쇄)”와 “ReAct(Reason + Act)” 기법을 유도해 정확도와 재현성을 높여 줍니다.

 

4. 단계별 작성 템플릿

아래 순서를 따라 빈칸만 채워 보세요.
1. 역할: “당신은 (페르소나)입니다.”
2. 목적: “__을(를) 생성/분석/요약해 주세요.”
3. 맥락: “배경은 __이며 버전은 __입니다.”
4. 형식: “결과를 __ 형식(표/JSON/Markdown)으로 출력하세요.”
5. 예시: “예) 입력 X → 출력 Y”
6. 제약: “__ 금지, __ 이내, 한글+영어 병기”
7. 진행: “Step-by-step으로 생각하고 필요하면 먼저 질문하세요.”
8. 피드백: “완료 후 스스로 오류를 점검→수정해 주세요.”

 

5. 실전 예제 3가지

💡예제 1: 여행 일정 자동 생성

- 기본형(부족한 프롬프트)

"부산 2박 3일 여행 코스 알려줘."

 

- 개선형

당신은 여행 플래너입니다.
목적: 20대 커플을 위한 여름 부산 2박3일 여행 일정 작성.
맥락: 2025년 8월, 대중교통 이용, 해산물 선호.
형식: 일자별 표(Table)로, 각 일정에 예상 소요시간·경로 포함.
제약: 예산 1인당 30만 원, 저녁 8시 이후 야경 포함, 영어 지명 괄호 병기.
Step by step으로 계획한 뒤 최종 표만 출력.

 

💡예제 2: 레시피 변환 & 칼로리 계산

- 개선형

역할: 뉴트리션 전문가(Certified Nutritionist).
목적: 김치볶음밥 레시피를 고단백·저탄수 버전으로 변환하고 1인분 열량 계산.
맥락: 닭가슴살·귀리밥 대체 가능, 가정용 인덕션 조리.
형식: Markdown 표 – 재료/중량/열량(kcal).
예시: 기존 레시피 JSON 제공.
제약: 총열량 500kcal 이하, 나트륨 800mg 이하.
마지막 줄에 “총열량: ___kcal” 출력.

 

💡예제 3: 뉴스 기사 요약 & SNS용 게시글 작성

- 개선형

역할(Persona): 당신은 전문 콘텐츠 에디터이며, 소셜 미디어 마케팅 경험이 5년 이상입니다.

목적(Goal): 아래에 제공한 최신 뉴스 기사 전문을  
1) 핵심 내용 3줄 요약  
2) 120자 이내 트위터용 문장  
3) 인스타그램용 해시태그 5개  
형태로 만들어 주세요.

맥락(Context):  
- 독자는 20~40대 일반인.  
- 정치·사회적 편향 없이 중립적 어조 유지.  
- 기사 출처: 연합뉴스 2025-07-06 09:30 배포.  

형식(Format):  
① **요약** – 번호 매긴 3줄 문단  
② **트윗** – 따옴표 없이 한 줄  
③ **해시태그** – `#` 포함, 한 줄에 공백 구분

예시(Example):  
*입력 기사* – “2025년 7월 1일, 서울시가 …”  
*출력 샘플*  
1. 서울시는 2025년부터 …  
2. …  
3. …  
트윗: 서울시가 2025년 …  
해시태그: #서울 #정책 #…

제약(Constraint):  
- 총 출력 길이 450자 이하.  
- 외래어 첫 등장 시 괄호에 영어 병기(ex. 메타버스(metaverse)).  
- 해시태그는 한국어 최소 3개 포함.  

단계별 진행(Step-by-Step):  
1) 기사 핵심 키워드 추출 → 2) 문장 압축 → 3) 트윗·해시태그 생성.  
모든 단계 종료 후 최종 결과만 출력하세요.

AI에게 물어보기(Ask the AI):  
필요한 추가 정보(기사 길이 제한 등)가 있으면 먼저 질문해 주세요.

피드백 & 자기 평가(Self-critique):  
출력 뒤 ❶사실 오류 여부 ❷문법 오류 여부 ❸길이 초과 여부를 스스로 검토하고, 문제가 있으면 수정해 완료본만 남겨주세요.

 

잘 작성한 프롬프트는 AI 성능을 배로 끌어올리는 열쇠입니다. 목적·맥락·형식을 명확히 하고, 역할·예시·제약조건 등을 세밀하게 조정해 보세요.

반응형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 활용법  (3) 2025.06.08
[GPT] 챗GPT 핵심용어  (1) 2024.11.17
[AI]벡터 데이터베이스  (3) 2024.10.09
[GPT]검색 증강 생성(RAG) 및 파인 튜닝(Fine-Tuning)  (1) 2024.10.01
[GPT] ChatGPT API란?  (1) 2024.09.29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